이름
蔓荊子, Viticis Fructus
기원
마편초과 순비기나무의 성숙한 과실
성미
성질은 약간 차고, 맛은 맵고 쓰다.
귀경
간경, 위경, 방광경
효능 주치 해설
풍사를 발산시키고, 청열한다. 성질이 가볍기 때문에 주로 상부로 들어가 두면부의 풍열을 소산한다. 외감 풍열에 의한 두통, 현훈, 목적종통, 두풍 등을 치료한다. 간경의 풍열을 소산하므로, 머리와 눈을 맑고 이롭게 한다. 목혼, 목적종통, 눈물흘림증의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고본과 더불어 거풍하고 승습하여 진통시키는데, 풍한 / 풍열에 따라 이용한다. 신경성 두통, 고혈압으로 인한 두통에 효과가 있으며, 해열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포제
문화(文火)로 볶는다.
용량
6~12g 전탕하거나 환, 산으로 만든다. 외용시 적당량을 전탕해 외세(外洗)한다.
금기
혈허하여 화(火)가 생긴 경우 발생한 두통, 목현에 삼간다. 비위가 허한 경우 삼간다.